아코디언 특징 역사 구조 연주법 여러 가지 종류도 알아보자
리드 오르간의 일종인 건반악기이며, 우리말로 손풍금이라고 하고, 1822년 독일의 부시만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이때는 피아노 식이 아니었고 온음계만 연주할 수 있어서 연주 폭이 매우 좁고 간단한 악기였으며, 이후 19세기 피아노식 아코디언이 발명되어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은 아코디언의 특징 역사 구조 연주법 그리고 여러 가지 종류를 알아보자
목차
1. 뜻
2. 역사
3. 구조
4. 연주법
5. 종류
6. 관련 악기
1. 아코디언은 어떤 악기인가
아코디언은 건반과 버튼을 누르면서 바람통으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며, 자유 리드를 진동시켜 소리 내는 악기이고, 들고 다니면서 멜로디와 화음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이다. 스위치를 통해 더욱 화려하고 다채로운 음색을 구사할 수 있어서 다양한 장르의 연주에 사용되고 있다.
2. 아코디언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찾아보자
아코디언의 초기 형태는 1820년 독일에서 형성되었으며, 본격적으로 accordion이라는 이름의 악기가 제작된 것은 1830년 빈 에서부터이다. 초기 형태는 단순했으나 19 ~ 20세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점차 지금과 같은 복잡한 구조의 다채로운 음색을 내는 악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3. 아코디언 구조에 대해 찾아보자
아코디언의 구조는 크게 멜로디부, 바람통, 베이스보로 나뉘고, 멜로디부와 베이스부에는 음색과 음역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으며, 바람통을 압축하며 건반 혹은 버튼을 누르면 유입된 공기가 악기 내부의 리드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4. 아코디언 연주법에 대해 알아보자
아코디언은 서거나 앉아서 악기가 가슴에 닿도록 어깨근으로 메고 양손으로 연주하며, 연주할 때는 바람통의 조작이 중요하며, 소리의 조절과 음악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벨 로징에 능숙해야 하고, 건반식 accordion의 경우 오른손 주법은 건반악기 주법과 크게 다르지 않고, 왼손으로는 버튼을 눌러 화음 반주를 한다.
5. 여러 종류의 아코디언에 대해 살펴보자
아코디언은 오른손으로 몇 가지 조의 온음계를 연주할 수 있고 한 버튼으로 두 개의 음을 낼 수 있는 다이아토닉과 한 버튼이나 건반으로 하나의 음만 낼 수 있으며 반음계의 12음을 모두 연주할 수 있는 크로매틱으로 나눌 수 있고, 크로매틱은 다시 버튼 accordion과 건반식 accordion으로 나눌 수 있다.
6. 아코디언 관련 악기에 대해 찾아보자
아코디언과 외형은 비슷하지만 불어서 소리 내는 클라비 올라, accordion의 선조 격인 플루티나, 바스크 지방의 민속음악에 사용되는 트리 키티 샤, 콘서티나, 반도네온, 가르몬, 그리고 accordion에 현대 기술이 접목된 Electronic accordion 등이 있다.
이 악기들을 간단히 소개하면, 클라비 올라는 1960년대 고안된 악기로 소리를 내는 원리는 멜로디언과 비슷하나 외형은 accordion과 닮아있다. 플루티 나는 다이아토닉 아코디언의 선조 격 악기이며, 19세기에 만들어졌으며 한두 줄의 멜로디 버튼이 있다. 트리 키티 샤는 바스크 지방에서 사용되는 민속악기이다.
콘서티나는 육각형이나 팔각형으로 만든 두 개의 판 사이에 accordion과 같은 바람통이 붙어 있는 리드 악기이며, 판 바깥쪽에 있는 여러 개의 버튼으로 음을 연주한다. 반도네온은 정통 독일식 바이 소닉 콘서티나에서 기원한 악기이며, 독일의 악기사이었던 하인리히 반트의 이름을 따서 반도네온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가르몬은 러시아의 전통 버튼식 아코디언의 한 종류이며, 오른손은 두 줄의 온음계 버튼으로 멜로디를 연주하며, 왼손은 베이스 버튼으로 화음을 연주하게 된다. 뮈제트는 프랑스에서 17~ 18세기에 유행한 악기이며, 바람통이 달린 백파이프로 되어 있다. electronic accordion은 어쿠스틱 아코디언의 작동 모델을 디지털화하여 더욱 풍부한 표현력을 갖춘 악기이다.
'악기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코더 명칭 상징적의미 찾아보자 (0) | 2022.09.03 |
---|---|
daegeum의 종류 주법 음정 배워보자 (0) | 2022.09.01 |
튜바 역사 구조 사용영역 살펴보기 (0) | 2022.08.29 |
트롬본 종류 구조 역사 알아보자 (0) | 2022.08.28 |
organ 명칭 종류 특징 살펴보자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