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바의 역사와 특징 구조 연주법 사용영역에 대해 살펴보자
기본 금관악기들 중 가장 역사가 짧은 악기이며, 기록상 1835년 프로이센에서 빌헬름 프리드리히 비프레히트와 칼 모리츠라는 두 악기 제작자들에 의해 특허 등록된 것이 최초로 여겨지고 있다. 오늘은 튜바의 역사와 특징 구조 연주법 사용영역에 해 살펴보자.
목차
1. 특징
2, 역사
3. 잡는 법과 연주자세
4. 구조
5. 사용영역
6. 연주자
1. 튜바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튜바는 오케스트라 전체의 베이스를 담당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금관악기이며, 오늘날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악기들 중 가장 최근에 도입된 악기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관악기들 중에서 가장 크고 최저 음역의 소리를 내며, 일반적으로 여겨지는 것보다 훨씬 민감하고 민첩하며 다양한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악기라는 것이 특징이다.
2. 튜바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금관악기의 베이스를 담당하는 튜바는 1835년 최초로 제작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오케스트라 악기로 도입되었고, 튜바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세르팡, 오피 클라이드와 같은 악기들이 관악기의 베이스 파트를 연주하였다고 한다. 세르팡은 베이스 목관악기로 튜바의 먼 조상이며, 입술의 떨림을 이용하여 소리 내며 측면에 핑거 홀이 있고 마우스피스는 컵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오피 클라이드는 르네상스 시대의 악기인 세르팡을 대체하였으며, 오피 클라이드는 1817년 발명되었고 프랑스 악기 제작자 장 할레르 아스 테가 1821년에 특허를 냈다고 한다.
3. 튜바 잡는 법과 연주자세를 알아보자
튜바는 무릎 위나 앞쪽에 두고 왼쪽 팔과 넓적다리로 고정시켜 탑 액션 밸브를 가진 튜바는 오른손 손가락을 밸브 캡 위에 두고 로터리 밸브와 사이드 액션 피스톤 밸브 튜바의 경우 오른팔은 앞쪽에 닿아야 하고, 손가락은 밸브 레버나 캡 위에 두면 된다. 손가락을 민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엄지 손가락과 손, 팔에 긴장을 푸는 것이 중요하고, 왼손은 악기의 앞부분에 편하게 닿을 수 있도록 관을 잡고, 왼손으로는 인토네이션을 조절하면 된다.
4. 튜바 구조에 대해 살펴보자
튜바는 넓은 원추형의 보어와 폭넓은 벨 그리고 컵모양의 깊은 마우스피스를 갖고 있다. 풍성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며 배음열의 낮은음들을 쉽게 소리 낼 수 있으며, 음색은 호른과 닮았다. 관은 주로 타원형으로 감겨 있으며 벨은 위를 향해 있는 반면, 튜바의 일종인 헬리콘과 수자폰의 관은 원형이고 이 악기들은 연주자를 감싸고 올라가 왼쪽 어깨 위에 놓고, 벨은 연주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며 행진하면서 연주하기에 용이하게 되어 있다.
5. 튜바의 사용 영역에 대해 찾아보자
관현악단과 취주악단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통상 관현악에서는 한 대만 쓰고 있다.. 하지만 몇몇 대규모 편성의 작품에서는 2대 쓰는 경우도 있으며, 원래 오피 클레이드 두 대를 편성한 베를리오즈와 환상교향곡에서도 튜바 2대로 대체해 연주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취주악단에서는 콘트라베이스 역할을 전담 혹은 분담해 3 ~5명가량이 팀으로 연주하기도 한다.
6. 튜바 연주자에 대해 살펴보자
윌리엄 벨은 20세기 전반 미국 최고의 튜바 연주자이자 선생님이고, 1921년 존 필립 수자 밴드의 멤버가 되었고, 1924년부터 1937년까지 신시내티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튜바 수석이다. 아널드 제이콥스는 미국의 오케스트라 튜바 연주자이며, 1944년부터 1988년 은퇴하기까지 44년간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투바 수석을 역임했고, 하비 필립스는 인디애나 대학의 교수이며, 평생을 튜바의 대변자로 현신하였고, 로저 보보는 미국 출신의 저명한 비르투오조 튜바 연주자이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금관악기 교육자이고, 존 플레처는 영국 출신의 튜바 연주자이고 1964년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튜바 수석을 역임하였다.
'악기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egeum의 종류 주법 음정 배워보자 (0) | 2022.09.01 |
---|---|
아코디언은 어떤 악기인지 알아보자 (0) | 2022.08.30 |
트롬본 종류 구조 역사 알아보자 (0) | 2022.08.28 |
organ 명칭 종류 특징 살펴보자 (0) | 2022.08.27 |
꽹과리 구조와 어떤곳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0) | 2022.08.26 |